wisdiom 아니고 wisdom

3. 빅데이터 조직 및 인력 본문

👩‍🎓✍/BigData 분석기사

3. 빅데이터 조직 및 인력

글로랴 2021. 3. 7. 14:54

(1) 빅데이터 조직 구조 유형

  • 집중 구조
    • 전사 분사 업무를 별도의 분석 전담 조직에서 담당
    • (장점) 전략적 중요도에 따라 분석조직이 우선순위를 정해서 진행 가능
    • (단점) 현업 업무부서의 분석 업무와 중복 및 이원화 가능성 높음
  • 기능 구조
    • 일반적인 형태로 별도 분석조직이 없고 해당 부서에서 분석 수행
    • (단점) 전사적 핵심 분석이 어려우며 *과거에 국한된 분석 수행
  • 분산 구조
    • 분석조직 인력들을 현업 부서로 직접 배치해 분석 업무를 수행
    • (장점) 전사 차원의 우선순위 수행, 분석 결과에 따른 신속한 피드백이 나오고 베스트 프랙티스 공유가 가능
    • (단점) 업무 과다와 이원화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기에 부서 분석 업무와 역할 분담이 명확해야 함

(2) 조직 구조의 설계 특성

  • 식화, 업화, 무 전문화, 제 범위, *의사소통 및 조정

(3) 조직 역량

  • 역량 모델링
    • 우수 성과자의 기여가 중요한 요소
    • *우수 성과자의 행동 특성을 파악하여 타 조직원에게 전달 및 공유하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쉬워진다. → Best Practice
    •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요구역량에는 하드 스킬(Hard Skill)과 소프트 스킬(Soft Skill)이 있다.
  • 데이터 사이언티스 요구역량
    • 소프트 스킬(Soft Skill) :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고유 성격, 속성
      • 분석의 통찰력 : 논리적 비판 능력, 창의적 사고력, 호기심
      • 여러 분야의 협력 능력 : 커뮤니케이션 능력
      • 설들력 있는 전달력 : 스토리텔링 능력, 비주얼라이제이션
    • 하드 스킬(Hard Skill) : 담당업무 수행을 위한 실질적 기술
      • 빅데이터 관련 이론적 지식 : 빅데이터 관련 기법 및 다양한 방법론 습득
      • 분석기술의 숙련도 : 목적에 맞는 최적 분석 설계, 노하우 축적
반응형

'👩‍🎓✍ > BigData 분석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6. 분석 로드맵 설정  (0) 2021.03.07
5. 개인정보보호법 · 제도  (0) 2021.03.07
4. 빅데이터 플랫폼  (0) 2021.03.07
2. 빅데이터 위기 요인 및 통제 방안  (0) 2021.03.07
1. 빅데이터 특징  (0) 2021.03.07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