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isdiom 아니고 wisdom

NoSQL 본문

👩‍🎓✍/BigData 분석기사

NoSQL

글로랴 2021. 3. 8. 21:57

NoSQL (Not Only SQL)

NoSQL은 전통적인 RDBMS와 다른 DBMS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로 데이터 저장에 고정된 테이블 스키마가 필요하지 않고 조인(Join) 연산을 사용할 수 없으며, 수평적으로 확장(scale-out)이 가능한 DBMS이다.

 

  • NoSQL은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기술로 확장성, 가용성,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.
  • 스키마-리스(Schema-less)로 고정된 스키마 없이 자유롭게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에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.
  • 대부분 오픈소스이며 구글 BigTable, 아파치 HBase, 아마존 SimpleDB, 마이크로소프트 SSDS 등이 있다.

(1) NoSQL 특성(BASE)

  • Basically Available 
    • 언제든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는 속성
  • Soft-State
    • 노드의 상태는 내부에 포함된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전송된 정보를 통해 결정되는 속성 
    • 특정 시점에서는 데이터의 일관성이 보장되지 않음
  • Eventually Consistency
    • 일정 시간이 지나면 데이터의 일관성이 유지되는 속성

 

(2) NoSQL 유형

  • Key-Value Store
    • Unique한 Key 하나의 Value를 가지고 있는 형태
  • Column Family Data Store
    • Key 안에 (Column, Value) 조합으로 된 여러 개의 필드를 갖는 DB
  • Document Store
    • Value의 데이터 타입이 Document라는 타입을 사용하는 DB
  • Graph Store
    • 시맨틱 웹과 온톨로지 분야에서 활용되는 그래프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DB

 

(3) CAP 이론

  • 분산 컴퓨팅 환경은 유효성(Availability), 일관성(Consistency), 분산 가능(Partition Tolerance) 3가지 특징을 가지며, 이 중 두 가지 만 만족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.
  • NoSQL은 CAP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.

반응형

'👩‍🎓✍ > BigData 분석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4. 변수(Feature) 선택  (0) 2021.03.10
13. 데이터 전처리 ⭐  (0) 2021.03.10
12. 데이터 저장  (0) 2021.03.08
11. 데이터 적재  (0) 2021.03.08
10. 데이터 품질 검증  (0) 2021.03.08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