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isdiom 아니고 wisdom

12. 데이터 저장 본문

👩‍🎓✍/BigData 분석기사

12. 데이터 저장

글로랴 2021. 3. 8. 21:53

 

(1) 빅데이터 저장기술

빅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대용량 데이터 집합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대용량의 저장 공간, 빠른 처리 성능, 확장성, 신뢰성, 가용성 등을 보장해야 한다.

 

(2) 빅데이터 저장기술 분류

  • 분산 파일 시스템
    •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는 여러 호스트 컴퓨터의 파일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파일 시스템
    • 저용량, 저성능, 비용 ↓, 범용성 O
    • (제품) 구글 파일 시스템(GFS),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(HDFS), 러스터(Lustre)
  •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
    •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개의 서버상에 구축하는 시스템
    • 가용성 O
    • (제품) 오라클 RAC, MSSQL, MySQL
  • NoSQL
    • 전통적인 RDBMS와 다른 DBMS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로 데이터 저장에 고정된 테이블 스키마가 필요하지 않고 조인(Join) 연산을 사용할 수 없으며, 수평적으로 확장이 가능한 DBMS
    • ACID 요건을 완화하거나 제약하는 특징
    • 확장성 O
    • (제품) 구글 빅테이블, HBase, 아마존 SimpleDB, 마이크로소프트 SSDS, Cloudata, Cassandra
  • 병렬 DBMS
    •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여러 디스크에 대한 질의, 갱신, 입출력 등의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
  • 네트워크 구성 저장 시스템
    •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하나의 데이터 서버에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데이터를 저장, 관리
    • 전통적인 방법
  • 클라우드 파일 저장 시스템
    •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가상화 기술을 활용한 분산 파일 시스템
반응형

'👩‍🎓✍ > BigData 분석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3. 데이터 전처리 ⭐  (0) 2021.03.10
NoSQL  (0) 2021.03.08
11. 데이터 적재  (0) 2021.03.08
10. 데이터 품질 검증  (0) 2021.03.08
9. 데이터 수집  (0) 2021.03.08
Comments